고물가시대인 요즘 정부에서 여러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요, 자주 이용하는 대중교통이 매일 출퇴근과 통학을 하다보면 교통비가 새삼 만만치 않음을 느끼게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특히 사회초년생인 청년을 위해 수도권 지자체들이 청년 교통비 지원 사업을 꾸준히 하고 있는 상황에서 '나도 교통비 지원 받을 수 있을까?' 하시는 청년분들을 위해 수도권 청년 교통비 지원 정책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시작하기에 앞서 다른 지원 정책도 추가로 궁금하신 분들은 문의나 상담을 통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 기후동행카드 청년권 할인
- 알뜰교통카드
- K-PASS 청년환급
서울 청년 교통비 지원 정책
서울 청년 교통비 지원 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울시의 먼저 지원하고 있던 만 19세~24세 청년 15만명에 대중교통비로 연 최대 10만원 한도의 교통마일리지를 지급하던 사업이 24년도에 종료된 상황입니다. 그러나 '기후동행카드 청년권'과 '알뜰교통카드' 및 'K-PASS'(청년 30% 환급)를 통해 대중교통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후동행카드 청년권'과 'K-PASS 청년환급'의 대상 연령이 기존 지원사업의 만 19~24세에서 19~34세까지 확대되어 조금 더 많은 청년층이 혜택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기후동행카드 청년권 할인 받는 법
우선 기후동행카드는 1회 요금 충전으로 선택한 사용기간 동안 대중교통(지하철,버스),따릉이까지 무제한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입니다. 이용 가능한 서비스 범위와 지하철 세부 노선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격은 30일권(따릉이 포함) 가격 65,000원(청년 할인 시 : 58,000원)이고, 30일권(따릉이 미포함) 가격은 62,000원(청년 할인 시 55,000원)입니다. 단기권도 판매하고 있으니 단기권에 대한 내은 관련 홈페이지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기후동행카드 구매 및 충전은 모바일 카드와 실물카드로 나뉘는데요.
모바일 카드는 '모바일 티머니' 앱을 다운받아 회원가입 하신 후 기후동행카드 발급 및 충전 후 이용하시면 됩니다.
실물카드는 서울교통공사(1~8호선) 고객안전실 및 역사 인근 편의점에 방문해 '기후동행카드' 구매 후 카드 뒷면 QR코드를 통해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 카드 등록을 마치셔야 합니다. 미등록 시 환불 및 따릉이 이용 불가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후 구매한 카드는 역사 내 무인충전기에서 충전하시면 됩니다.
또 따릉이는 '티머니 GO' 앱을 통해 기후동행카드를 등록 해 두시면 사용기간 동안 따릉이 2시간 이용권을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 할인 받은 선불 기후동행카드는 5만 5천원과, 5만 8천원 두가지로 구매 가능하다고 앞서 말씀드렸는데 할인 방법은 매 6개월마다 연령인증을 꼭 받으셔야 합니다. 실물카드는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서, 모바일카드는 모바일티머니 앱에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
후불 기후동행 카드는 30일 기준 할인된 7,000원 기준으로 월별 일 수 차이에 따라서 일당 230원씩 가감을 적용받습니다. 후불 기후동행카드도 연령인증은 매 6개월마다 티머니카드&페이 홈페이지에서 받으셔야 합니다. 또 후불 기후동행 카드는 제휴 신용카드사에서 발급 받으실 수 있으며, 반드시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 카드 등록을 하셔야 적용됩니다. 후불 기후동행카드 발급기관은 카드사에 문의 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알뜰교통카드
![]() |
![]() |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 이용 시 추가 보행과 자전거 이동 거리에 따라 마일리지를 쌓아 교통비를 절감해주는 제도였습니다. 2024년 5월 1일부터 K-PASS로 개편 되었고 기존 알뜰교통카드와 함께 사용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는 알뜰교통카드 제도가 K-PASS로 변경되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K-PASS 청년 환급
K-PASS의 청년 환급에 대해 소개하기 전에 우선 K-PASS는 지원대상의 폭이 굉장히 넓습니다. 일반 대상자는 기본적으로 이용 교통비의 20%가 적립되고 청년(만 19세~34세)은 30%가 적립이 됩니다. 저소득층은 53%까지, 다자녀(미성년자 자녀 포함한 2인 또는 3인 이상 다자녀 부모만 해당)는 2인 30%, 3인이상은 50%까지 적립이 됩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청년이 아닌 소득층도 폭넓게 혜택을 볼 수 있는 정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급 기준은 대중교통 월 15회 이상 이용 시 부터 최대 60회까지 지급이 됩니다. 1일 최대 2회까지만 적립됩니다.
K-PASS 이용방법은 우선 K-PASS 카드를 발급받으셔야 하는데요, 카드는 삼성카드, 국민카드, BC카드, 현대카드, 신한카드 등등 다양한 카드사에서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와 선불카드 모바일카드도 발급 가능합니다. 카드사 마다 포함되어 있는 추가 혜택들이 다르니 참고하시어 발급 받으시길 바랍니다.
K-PASS 카드를 발급받고 나서는 K-PASS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하시고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면 됩니다.